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부동산 공시가격 알리미 조회 방법

by **§ 2021. 3. 22.
반응형

우리는 투자를 진행할 때, 적당한 지표 혹은 기준이 필요합니다. 이는 부동산에 대한 투자라 해도 크게 다른 이야기는 아닙니다. 부동산 공시가격은 투자자들이 투자 결정을 내릴 수 있는 하나의 지표가 될 수 있습니다. 또한, 부동산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 부동산 보유세를 책정하는 기준이 되기에 정확한 공시가격 조회의 필요성은 커지고 있습니다. 부동산 공시가격 알리미 사이트를 통해 해당 내용의 조회가 가능합니다.

 

 

부동산 공시가격 알리미 사이트는 '국토교통부'에서 운영하는 공식 홈페이지입니다. '공동주택 공시가격', '표준단독주택 공시가격', '개별단독주택 공시가격', '표준지 공시지가', '개별 공시지가'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데스크톱 pc를 이용한 조회가 많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 성능이 좋아지고, 그에 따른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되면서 '부동산 공시가격 알리미' 사이트의 조회 시스템에 대해 핸드폰 app을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

 

 

부동산 공시가격 알리미 조회방법

우선 공식 홈페이지인 '부동산 공시가격 알리미 사이트'에 방문합니다.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 부동산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공시가격 검색을 위해서는 해당되는 부동산의 '주소'를 알고있어야 합니다. 공시기준별 공시가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부동산 공시가격 알리미 사이트 → (공동주택 공시가격, 표준단독주택 공시가격, 개별단독주택 공시가겨, 표준지 공시지가, 개별 공시지가) 메뉴 중 택1 → 지번, 도로명, 지도 등의 방법으로 검색 → 공시기준별 공시가격 확인

 

 

 

①부동산 공시가격 알리미 사이트 접속

다음 검색포털을 이용해 사이트를 검색한 후, 해당 사이트 검색결과를 통해 접속할 수 있습니다.

 

②공시가격 조회 메뉴 선택

공식 사이트 메인화면에 준비되어 있는 분류별 공시가격 조회 메뉴를 선택하셔서 진행하시면 됩니다.

  • 공시가격 조회 메뉴
    • 공동주택 공시가격
    • 표준단독주택 공시가격
    • 개별단독주택 공시가격
    • 표준지 공시지가
    • 개별 공시지가
  • 정확한 주소지를 안다면 '표준지 공시지가', '개별 공시지가' 메뉴를 활용하는게 편리할 수 있습니다.

※ 가장 많이 활용할 것이라 판단되는 '공동주택 공시가격', '개별 공시지가' 조회를 예로들어보겠습니다.

 

③공동주택 공시가격 조회 방법

ㄱ. 공동주택 공시가격 메뉴 선택

ㄴ. 공동주택가격 열람

ㄷ. 공동주택가격 여람 세부정보(주소검색) 조회

  • 조회방법 : 텍스트 검색 / 지도 검색

ㄹ. 공동주택가격 확인

공동주택 공시가격 조회 방법

 

④개별 공시지가 조회 방법

ㄱ. 개별 공시지가 조회 메뉴 선택

ㄴ. 열람사이트(시,도별 선택)

  • 시, 도를 선택하면 해당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ㄷ. 해당 사이트 이동 후 주소 입력

ㄹ. 개별공시지가 조회 및 확인

개별 공시지가 조회 방법

 

 

⑤부동산 공시가격 알리미 app 다운로드 방법

공식홈페이지 메인화면에 안내되어 있는 'app 다운로드' 링크를 통해 어플을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으로 이용하셔야 합니다. 또는 플레이 스토어를 통해서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app 이름은 "한국부동산원 부동산정보 - 부동산 시세, 전제, 아파트 실거래가" 입니다. 

 

※ 조회 대상 부동산의 정확한 주소를 잘 모르겠다면, 다음지도를 이용해 해당 부동산의 지번 혹은 도로명 주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마치며.

부동산에 대한 관심은 예전부터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물론, 현재의 특성상 더 두드러지곤 하는데, 투자의 개념이 아닌 보유세를 산정하는데도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정책이 변화하면서 가계 경제에도 많은 영향을 주게 됩니다. 대략적인 지출 사항에 대해 미리 살펴보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핸드폰 어플 혹은 데스크톱 pc 환경에서 부동산 공시가격 알리미 조회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