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내가 나를 사랑하고 돌보는 3가지 방법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22. 6. 6.
반응형

내가 나를 돌보는 것은 중요한 문제입니다. 세상에서 자신을 돌볼 수 있는 사람을 외부에서 찾아서는 안됩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스스로가 자신을 돌봐야 한다는 부분입니다.

사람은 사회적 동물이기 때문에 외부의 영향을 많이 받을 수밖에 없습니다. 어떤 사람은 너무나 다정하고, 어떤 사람은 냉정할 수 있습니다. 자신에게 영향을 끼치는 사람의 특징에 따라 삶을 대하는 태도도 달라질 수 있습니다.

다정한 사람에게는 감정적인 의지를 느낄 수도 있습니다. 감정적인 의지는 기대감을 내면에 가지게 될 것이며, 자신의 문제점에 대해서 타인에게 의지하려는 생각이 들 수 있습니다. 이런 부분을 조심해야 합니다.

다음은 스스로를 돌볼 때, 고려해봐야 할 사항 3가지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공감이 될 수 있는 부분도 있을 것이고, 그렇지 않은 부분도 존재할 수 있습니다. 어디까지나 참고하는 사항으로 가볍게 살펴보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① 가장 소중한 것은 자기 자신

세상에서 가장 소중한 것이 무엇이냐의 질문에 사람들의 대답은 차이를 보일 수 있습니다. 누군가는 값비싼 보석이 될 수 있을 것이며, 누군가는 가족이 될 수 있습니다. 여기서 빠진 것이 바로 '자기 자신'입니다.

너무 당연한 것이기 때문에 언급하지 않는 것일 수 있지만, 간혹 우리는 이 중요한 사실을 잊고 살아가곤 합니다. 세상을 살아간다는 것은 많은 어려움을 극복하는 과정의 반복이기도 합니다. 결국, 그 속에서 누군가는 행복을 만나게 될 것입니다. 하지만, 그렇지 못한 사람도 존재합니다.

앞으로 행복이 찾아올 수 있을 텐데, 현재가 너무나 힘들기 때문에 그 생각을 못하기도 합니다. 이런 경우, 자기 자신의 희생을 당연하게 여길 수도 있습니다. 희생은 너무나 값진 것이지만, 자신을 잃어버리는 희생은 결코 좋은 방법이라 할 수 없을 것입니다.

스스로를 돌아보고 감정을 잘 다스려 자기 자신의 소중함과 행복의 기준점을 찾을 필요가 있습니다.


② 운동을 생활화해야 합니다.

앞에서 언급한 감정적인 안정감을 찾는 것은 스스로를 돌아보고 생각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일상이 너무 바쁘고, 체력이 고갈된 상태라면 어떤 생각이 들까요. 어쩔 수 없이 '잠', '휴식'만을 원하게 될 수 있습니다. 더 나아가 번아웃 상태가 된다면 그저 아무것도 하기 싫은 상태가 되겠죠.

이 상태가 반복된다면 습관적으로 자신을 돌아보지 못하게 될 수 있습니다. 다시금 스스로의 소중함을 깨닫고 자신을 돌아보기 위해서는 충분한 시간을 보내야만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이 바로 '체력'입니다. 우리는 기계가 아니기 때문에 배고픔을 잊는다고 해서 능률적으로 행동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생각을 위해 뇌를 사용하는데도 적당량의 에너지를 소비하게 됩니다. 즉, 체력이 있어야 생각도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또한, 운동은 우리에게 긍정적인 사고를 할 수 있는 바탕이 되어줍니다. 긍정적인 상태에서 자신을 돌아본다면 보다 멋진 생각으로 자신을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③ 아무리 바빠도 짧은 휴식을 찾아야 합니다.

'먹고살기 바빠서'라는 이야기를 종종 합니다. 모든 사람들이 이런 생각을 할 것입니다. 살아가는 데는 다양한 것이 필요한 법이며, 필요한 것을 얻기 위해서는 '돈'이 필요합니다. 우리는 매일 반복되는 일상에서 일정량의 돈을 벌게 됩니다.

좋아서 하는 활동에는 피곤함을 잊을 수 있지만, 원치 않은 활동에서는 피로감이 몇 배로 느껴지곤 합니다. 일을 하는 것은 우리가 원하는 것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피로감은 몇 배로 높아질 수 있습니다. 이런 피로감은 우리에게 부정적인 피로감을 안겨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중간에 휴식이 필요합니다.

앞에서 언급한 3가지는 사실 이상적인 부분이 많습니다. 현실적인 문제에 부딪치면 어려운 일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 어려운 일도 반복을 통해 습관이 형성되면 그저 어려운 일이 아닐 수 있습니다. 스스로의 자존감을 높이고, 자신을 돌볼 수 있다면 삶의 행복도는 높아질 수 있을 것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