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공동인증서발급방법 간단해요

by **§ 2021. 2. 25.
반응형

공동 인증서 발급방법 간단해요 

공인인증서의 활용이 변화를 거듭하면서 이제는 '공동 인증서'라는 새로운 개념이 등장했습니다. 이 개념의 등장과 인증방법의 변화는 사람들의 반응은 어떠했을까요. 개인적으로 큰 혼란스러움은 없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몇몇 서비스의 경우 기존의 '공인인증서'를 이용해서도 충분히 사용이 가능했지만, 차츰 이런 서비스도 공동 인증서로 넘어갈 수 있겠죠. 이번에 공동 인증서에 대해 확실하게 알 보기로 하겠습니다.

 

 

 

공동 인증서란

2020년, 기존에 사용하던 전자서명방법인 공인인증서를 민간 인증서로 대체하면서 '공동 인증서'라는 명칭으로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이제 본격적으로 시행된 것은 그리 오래된 이야기는 아니기도 합니다. 

 

지난해 12월 10일 자로 공인인증서 제도는 폐지되었으며, 현재 사용되는 공동 인증서라는 명칭으로 변경된 바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기존에 사용되던 인증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입니다.

 

 

공동 인증서 발급은 어디서 할까요.

"한국범용인증센터"를 통해서 공동 인증서를 발급할 수 있습니다. 개인사업자 / 법인사업자로 구분하여 인증서 발급 신청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해당 사이트에 접속하시면 위 사진과 같은 두 가지의 메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자신의 사용목적에 맞는 것으로 신청하시면 되겠습니다. 

 

개인사업자 / 법인사업자의 경우 사용기간에 따른 비용이 발생되게 됩니다. 1년형 80,000원 / 2년형 150,00원 / 3년형 180,000원으로 사이트 메뉴를 선택하시면 서비스 선택 화면으로 넘어가게 됩니다. 

 

신청절차

신청절차는 온라인 신청 > 서류 제출 > 인증서 발급(온라인 가능)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우선은 온라인으로 신청서를 제출하신 후, 관련 서류를 제출해야 합니다.

 

위 사항은 사업자에 대한 내용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일반 개인의 '공동 인증서'는 어디서 발급받을 수 있을까요.

 

네이버를 이용하는 방법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공동 인증서로 바뀐 후, 정해진 특정 업체가 아닌 민간 업체에서 인증서를 발급할 수 있게 되었기에 가능한 일입니다. 카카오, PASS 등 네이버 이외의 다양한 곳에서 인증서를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 네이버에서 공동 인증서를 발급받기 위해서는 '웨일 브라우저'를 필요로 합니다. 인증서 발급을 간소화할 수 있는 만큼 웨일 브라우저를 설치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네이버 애플리케이션에서도 공동 인증서는 발급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 네이버 로그인을 필요로 합니다. 

 

 

네이버 '공동 인증서' 발급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PC웨일 브라우저로 네이버 인증서 홈에 접속하여 인증서 발급하기를 진행합니다.
  2. 네이버 인증서가 처음일 경우 약관에 동의합니다. 
  3. 다음으로 휴대전화 인증을 진행합니다.
  4. 네이버 페이 비밀번호를 입력하시면 인증서가 웨일 브라우저에 저장될 수 있습니다.

(참고, 네이버 회원 공식 블로그 포스트)

 

 

웨일브라우저 공동인증서 검색 결과 화면

 

 

(안내) 네이버 인증서 소개 및 사용법

네이버 인증서란?​금융기관에서 상품에 가입하거나 대출 계약할 때직원에게 신분증을 내밀어 내가 누구인...

blog.naver.com

▲ 네이버 인증서에 관련된 설명 글입니다.

 

 

웨일 브라우저를 이용해 인증서 발급 검색 및 해당 링크로 이동하시면 보실 수 있는 화면입니다. 또한, 처음 인증서 발급이시라면 '이용약관 동의'에 대한 안내 창입니다.

네이버 공동인증서 발급 방법 과정.

이후부터는 안내에 따라 앞에서 언급한 순서대로 진행을 해주시면 인증서를 발급하실 수 있습니다. 상당힌 간편하게 인증서를 발급받을 수 있으며, 한번 받은 인증서의 유효기간은 3년이라고 합니다. 기존의 1년 단위 갱신을 생각하면 편리하다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마치며.

공인인증서에서 공동 인증서로 넘어가는 것은 정해진 업체, 유효기간의 변화를 제외하고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1년이라는 기간이 3년으로 늘어났다는 점과 인증서를 발급받는 과정이 간소화되었다는 점은 큰 매력으로 다가오는 것 같습니다.

 

인증서는 인터넷에서 상당히 중요한 전자서명임에 보안과 관리에 철저해야만 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