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전면허증 재발급하는 방법
한번 따 두면 지속적으로 사용하게 되는 게 운전면허증입니다. 대다수는 고등학교를 졸업하면서 남게 되는 시간을 이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는 경우가 많겠죠. 대략 20대 초반이 되겠습니다.
세월이 지나면서 주변도 자신도 변화하면 운전면허증을 재발급해야한다는 안내문을 받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면허증의 갱신기간은 10년을 주기로 진행하게 되니, 잊고 살게 되기도 합니다. 오늘 알아볼 내용인 운전면허증 재발급 방법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
운전면허 재발급 방법들
1. 운전면허 시험장을 방문해서 재발급하기
일반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활용하는 방법일 수 있습니다. 저도 이 방법으로 운전면허증을 갱신해본 경험이 있답니다. 직접방문하기에 중간에 착오가 생길 우려가 적어지기도 합니다.
자신이 사는 지역에서 운전면허시험장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적당한 날짜(갱신일 이전)에 해당되는 시험장에 찾아가셔서 면허증 갱신을 진행하시면 되는데요. 익숙하지 않은 곳은 길을 잃지 않도록 조심해야겠죠.
또 한가지, 미리 알아두면 좋은 정보가 있습니다. 운전면허시험장은 필기시험을 치르는 사람들 혹은 별도의 차량 관련 보일을 보는 사람들로 복자 할 수 있습니다. 시간적 여유가 있다면 오전 일찍 혹은 오후쯤이 비교적 사람이 적을 수 있습니다.
<운전면허시험장 재발급 준비물>
- 신분증
- 증명사진
- 증명사진은 면허시험장에서 즉석으로 촬영하실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추천하지 않습니다. 마음에 드는 사진을 미리 준비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수수료 발생
2. 경찰서를 방문해서 재발급 받기
교통민원실이 있는 경찰서를 방문하셔서 운전면허증 재발급을 진행하시면 되겠습니다. 방문하시려는 경찰서에 해당부서가 있는지 확인한 후 이동하면 불편한 일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겠죠.
인터넷을 이용해 운전면허시험장을 검색하시면 그렇게 흔치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반면, 경찰서의 경우는 비교적 가까이에 있으니 운전면허시험장을 방문하시는 것보다는 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단, 발급까지는 며칠의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즉, 신청 후, 수령을 위해 재방문을 하셔야 합니다. 등기로 수령이 가능하나, 일정한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시간적으로 조금의 여유가 있다면 재방문이 더 좋은 선택일 수 있습니다.
<경찰서 방문, 재발급 준비물>
시험장을 방문해 재발급받는 것과 동일합니다. 당일 발급은 불가능합니다.
- 신분증
- 증명사진
- 수수료 발생
3. 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으로 신청 (도로교통공단)
사용하시는 포털에서 '도로교통공단'을 검색하시면 해당 홈페이지를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의 가장 큰 매력은 직접 방문을 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입니다. 다만, 운전면허증 재발급의 경우 수령을 위해 최소 한 번의 관련 기관 방문이 필요합니다.
해당 홈페이지로 이동하셔서 화면 중간에 보시면 "안전운전 통합민원"이라는 메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재발급으로 이동하실 수 있습니다. 같이 보겠습니다.
위 사진과 같이 도로교통공단 홈페이지의 안전운전 통합민원의 하위 메뉴들입니다. '운전면허증 발급'이라는 메뉴에 보시면 '재발급'이라고 적혀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선택을 하시면 하단에 '면허증 재발급'을 확인하실 수 있는데요. 여기로 이동하시면 되겠습니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본인 인증은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이제, 본인인증을 통해서 문전 면허증 재발급 절차에 따라 진행하시면 되겠습니다.
단, 홈페이지 서비스 운영시간이 지정되어 있습니다. <오전 7시 30분부터 오후 10시(22시)까지> 사용이 가능하니 해당 시간에 맞추어 신청해주시면 되겠습니다.
마치며.
운전면허증의 경우 10년 정도마다 갱신하게 되어 자칫 바쁜 일상에서 까먹는 경우도 생기는 것 같습니다. 비교적 넉넉한 시간적 여유를 주기도 합니다. 갱신 날짜가 다가와 갑작스럽게 진행하려 하면 아무리 쉽고 익숙한 일도 실수를 할 수 있습니다.
방문을 위한 시간적 여유가 없으시다면 인터넷을 이용해 여유롭게 운전면허증 재발급을 진행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물론, 인터넷을 이용해도 수령을 위해서는 방문해야 하지만 말이죠. 본 내용이 여러분에게 작게나마 도움이 되면 좋겠네요. 감사합니다.
댓글